본문 바로가기
0. Life Log/School & Scholar

새로운 삶의 시작 - 생산적으로 실패하기 (대학원 시작 log)

by Never Settle Down 2025. 2. 25.
반응형

오늘은 25th Feb 2025

 

브금은 이거다:

beegees - Stayin' Alive

 

 

요즘 내 무드가 딱 이거다.

 

Well, you can tell by the way I use my walk
I'm a woman's man, no time to talk
Music loud and women warm, I've been kicked around since I was born
And now it's alright, it's okay and you may look the other way
We can try to understand the New York Times' effect on man

 

Whether you're a brother or whether you're a mother
You're stayin' alive, stayin' alive
Feel the city breakin' and everybody shakin'
And we're stayin' alive, stayin' alive
Ah, ha, ha, ha, stayin' alive, stayin' alive
Ah, ha, ha, ha, stayin' alive
Oh, when you walk

 

존나 딱 이 박자에

딱 이 가볍고 플로팅 수준의 신나는 stride.

 

 

 

KU (2025 First Semester)

Stromae - Peace or Violence   Edit">Edit  수신제가박사탈조선잼영이형도 맘에 안들고 (하는짓이 한나라 새누리 계엄의힘이랑 뭐가 다른거임)내란의 힘은 이제 해산할 타이밍이 된거같고문통이나 한

thewanderer.tistory.com

 

 

 

13th Feb 2024.

딱 1년 전에 이 뉴스 아티클을 스크랩해놓고

이 글을 써제끼지 아니하였다.

 

https://www.bbc.com/worklife/article/20221019-the-smart-way-to-learn-from-failure

 

The smart way to learn from failure

Many of us make mistakes on endless repeat – but new insights can help us to learn valuable lessons from our failures.

www.bbc.com

 

문득 WB 위자딩월드 기반 게임에 나온 멘트가 떠올랐다.

 

Niamh Fitzgerald

As you know, light does not exist without shadow nor shadow without light. Simply because you can eliminate darkness does not always mean that you should.

 

 

나의 삶은 실패의 연속이었다.

 

진로와 전공의 매니지먼트 실패도 있었고

회사와 직무를 잘 고르는 것도 실패가 많았다.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던 범위에서 실패를 하면서

내가 컨트롤 할 수 있는 범위를 늘려낼 수 있었다.

 

예를 들자면 개 쌉꼰대같은 근무환경은

아무리 내가 맞춰보려 한들 그 한계가 명확하여

스트레스가 장난아니게 누적되곤 했다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변수)

 

실패를 맛보고 경험이 쌓이다보니

그런 환경을 사전에 눈치채고 회피할 수 있는 능력이 함양되었다. (컨트롤 할 수 없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만듦)

 

 

 

 

전 직장과

전전 직장 모두

아침이 너무너무 끔찍했다.

 

https://thewanderer.tistory.com/165

 

취준생의 Pain Tolerance는 어디까지 가야하는 것일까 (정보보안 포기..하고싶다.)

교육 들을때 릴리즈돼서 집가면서 듣다 울었다. 지금도 가끔씩, 듣다가 갑자기 혼자 질질 짜게만드는 노래이다. 어디론가 나를 잃어버렸죠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그 순간, 기억들이 모여 자꾸

thewanderer.tistory.com

 

 

전 직장은 그래도 참고 다니려는 의지가 있었으니 망정이지....

 

전전 직장땐 불면증이 자꾸 도져서 (스트레스 때문에)

침대에 누워 밤을 새우고 출근한 날이 하루이틀이 아니다.

(약 67일-68일 가량 된다)

 

 

 

 

 

지금 랩실은 진짜 맘에 든다.

 

겨수님도 완전 인자하시고

자유와 자율성을 매우 존중해주시는,

대학원생을 인격체로 대해주시기 때문에 진짜진짜 감사하고

 

랩실 분위기도 교수님 따라가는지

진짜진짜 맘에 든다.

 

 

요즘 랩실로 출근을 하고 있는데

아침에 막 자꾸 잠에서 깨버려서

(6시 40분?)

아 너무 안자고 가면 피곤한데... 하면서 억지로 더 자다가

개운한 아침을 맞이하며 기분좋게 출근을 하고 있다.

 

 

 

씨발.

사람은 하고싶은거 하면서 살아야 하는 것이다.

 

그동안 너무 힘들었다 진짜.

 

일도 개같고 (비전이 1도 없음)

사람도 개같고 (개쌉꼰대 쌖끼들 진짜)

취업도 개같고 (앉은자리에서 지원서 20개는 기본으로 제출함)

삶이 우울했는데

 

 

진짜 하고싶은거 하면서 사려니까

마음이 편하다.

 

 

...

 

He says he was intrigued by people’s tendency to abandon their dreams prematurely. “The research was an attempt to understand why we sometimes give up too early, even though we could have succeeded if we had been a bit more patient and willing to give it a second try,” he says. 

 

실패를 많이 겪은만큼,

실패를 많이 또 회피해온만큼

앞으로 실패를 줄이려면 준비를 해야한다.

 

 

이 기사가 되게 읽을만한? 그런 것이었다.

https://www.bbc.com/worklife/article/20221019-the-smart-way-to-learn-from-failure

 

The smart way to learn from failure

Many of us make mistakes on endless repeat – but new insights can help us to learn valuable lessons from our failures.

www.bbc.com

(아까 그 기사다. 읽어보면 좋다)

 

A. 신 포도 효과 The ‘sour-grape effect’

 

Sjåstad hypothesised that the people who were given negative feedback about their practice answers would underestimate the importance of their future performance for their emotional state. And this was exactly what happened. The people who felt they’d failed on the practice run predicted that a perfect score would do little to increase their immediate happiness. Crucially, this did not turn out to be true; when they took a second test and were told they received top marks, the good news really did make them happy. They had been completely wrong in assuming that the result would not make them proud.

 

실험을 했다고, 그랬다고 한다.

 

Sjåstad says this is self-protective. “Most of us want to think of ourselves as competent and capable people, so when external feedback suggests otherwise, it poses a serious threat to that self-image,” he says. “The easiest way out is to deny or explain away the external signal, so we can reduce the inconsistency and preserve a positive sense of self. I think we do this all time, even without noticing.” (It’s worth noting that after each of these experiments, Sjåstad debriefed his participants, so they did not leave with a false impression of their intuitive abilities.)

 

본인 이미지 보호를 위해 부정적 견해를 씹어버리는 것...

이에 익스플레인 어웨이 하는 과정에서

내가 바라던 것의 가치를 깎아내려버리는 것

 

Sjåstad suspects that the sour-grape effect could influence motivation in many areas of life. If you have one bad interview for your dream job, you might decide you don’t really want to work in that field after all, and so you stop applying for similar positions. The same goes if you fail to impress at a sports trial, or if a publisher rejects the first submission of your manuscript.

“It might be tempting to explain away our shortcomings and blame someone or something else, trying to convince ourselves that our ‘Plan C’ was actually our ‘Plan A’ all along,” he says.

 

이 것에 대해 주의하여야 한다.

 

Sjåstad isn’t claiming that we should persevere in all our goals all the time; it can be healthy to put ambitions in perspective and change course if the process is no longer making us happy. But the sour-grape effect may lead us to come to this decision prematurely, he says, rather than seeing whether we might learn and improve.

 

나도 돌이켜보면 이 것을 경험했고,

덕분에 정보보안에 도달하긴 했다만

앞으로도 같은 실수를 번복해서는 아니된다.

 

들으면 뻔히 아는 그런 스토리면서도

범하기 매우 쉬운 실수 중 하나,

 

특히 나처럼 나르시즘에 가까운 스놉에게는

매우 주의하여야 할 인간으로서의 약점일 것이다.

 

 

 

B. 타조 효과 The ‘ostrich effect’

Devaluing the source of your disappointment is just one way your mind may avoid coping constructively with failure; another coping mechanism is to hide your head in the sand, shifting your attention away from the upsetting situation so that you don’t have to process it.

Researchers have long known that we often turn a blind eye to incoming bad news. Economists, for instance, have found that investors are less likely to check their financial status when their fortunes are falling rather than rising

 

뻔히 아는 얘기지 아니한가.

 

The satisfaction of helping another person provides a personal ego boost, so that people feel more confident to confront their own failures

 

흠.

그래서 내가 더 나대기가 됐던 것이구먼.

 

Much of their research has centred around an experimental set-up called the “Facing Failure game”, in which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a series of either-or questions. They were presented with pairs of symbols resembling hieroglyphs, for example, and asked to guess which one represented an animal, for example.

After giving their answers, they were told whether they were right or wrong. Since there were only two choices, either form of feedback – positive or negative – should have helped them to learn the correct answer, so that they could perform better on a subsequent test. And there was a small financial incentive to do so: they would receive $1.50 for each symbol that they remembered in the next round.

Most people successfully remembered their correct answers. Quite astonishingly, however, they failed to learn from mistaken answers, and performed no better than chance on these items. “People often didn’t learn anything,” says Fishbach.

 

이 얘기를 읽어보면 흥미로운게,

단순 심볼 외우기에서 정답을 알려줬음에도

(다음 테스트에는 맞춘 것에 대해 인센티브가 있음)

대부분 틀린 답에서 또 틀린 답을 제출했다는 점이다.

 

To investigate th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the researchers asked a further group of participants to view someone else’s answers to a round of the Facing Failure game. In these cases, the “observers” seemed perfectly able to infer the correct responses from the other player’s wrong answers and to remember them later. “This suggests that the task is not so hard, cognitively,” says Fishbach. Instead, it seems to be the hurt feelings of being wrong themselves that acted as the barrier to learning for the people actually playing the game. Rather than confronting the mistake, participants who had got the answer wrong let their attention slip away, without encoding the correct answer in their memory. 

 

더 신기한건, 옵저버로 들어간 사람들은 두 번째 테스트에서 정확한 답을 맞췄다는 점이다.

본인이 틀렸다는 점, 그 고통 하나로 인해 성장의 기회를 놓친 것으로 보인다.

 

Eskreis-Winkler and Fishbach have now rolled out the Facing Failure game in many different contexts, including to groups of telemarketers, who were given the chance to learn useful information about their profession.

 

텔레마케터에게 같은 실험을 했다.

 

In each case, the participants were perfectly capable of remembering their successes, but learnt almost nothing from their mistakes.

 

본인이 맞춘건 기억하고, 실수한 것으로부턴 거의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

 

이러한 감정적인 부분, 무의식적인 자기보호기제를 이겨내고

본인의 실수로부터 배울점을 찾아 습득해야 한다.

 

C. Failing constructively 

Fortunately, Fishbach’s research with Eskreis-Winkler suggests that there are some strategies to overcome the emotional barriers to confronting failure.

 

일 년 전에 이 부분을 읽고나서

나도 모르게 많이 따라했던 것 같다.

 

좋은 서터레터지스가 있다.

 

The first is a process called ‘self-distancing’, in which you adopt a third-person perspective. Instead of asking “Why did I fail?” I might ask “Why did David fail?”, for example. Multiple studies by psychologist Ethan Kross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show that self-distancing helps to soften our negative emotional reactions, allowing us to view upsetting events more objectively. In this case, it should mean that the failure feels less threatening to the ego, so that we can better analyse the reasons for the disappointment – without having sour grapes or defensively hiding our heads in the sand.

 

1. 제 3자로 바라보기.

 

이거 해보면 은근 개쩖

 

A second strategy involves offering advice to others who may be in the same position as you, which Eskreis-Winkler and Fishbach tested with Angela Duckworth, a professor of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They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helping another person provides a personal ego boost, so that people feel more confident to confront their own failures. “It forces people to engage with their experience and what they have learned,” says Fishbach. 

 

2. 타인에게 도움 주기.

 

내가 좋아하는 방법 중 하나임.

이고 부스트 개쩖

 

내가 이 블로그를 쓰는 이유 중 하나인듯.

 

 

Sjåstad points out that failures are an inevitable part of life. “If you never fail, you’re probably aiming too low,” he says. And by learning to confront the disappointment and learn from their lessons, you may find the road to success a little easier to navigate. 

 

 

3년 다니고 조기졸업을 할까 싶은 생각이 있고
(3년 재학 후 박사 취득)

 

여기 랩실 기준, SCI 논문 3개 등재를 해내려면

1년에 논문 하나씩 뱉어내면서

수업을 꽉꽉 채워들어야 한다.

 

 

쉽진 않겠다만

두려움보단 에피네프린이 먼저 느껴진다.

 

“If you never fail, you’re probably aiming too low,”

 

내가 주의해야할 점은 not aiming too high, vertical enough to shoot yourself 이다.

 

 

 

그러나 한가지 확실한 것은,

 

사람은 하고싶은거 하고 살아야한다

 

이다.

 

집에 와서도 ERP-like 시스템에 로그인을 한것

이건 전에 다니던 회사 기준으로는 정신나간 짓이겠다만

지금은 뭐.

내 지도겨수님은 조낸 상남자이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Talk is cheap. Show me your money i mean paper.

 

욕설 없이 Bitch. 를 나즈막히 내뱉는 포스이다.

 

ㅋㅋㅋㅋㅋㅋㅋ 넘나 좋다.

 

연구주제 조지러 가자.

 

 

26th Feb 2025

내 학교에 김휘강이라는 교수님이 계신가보다.

자세히 찾아보다보니, 포스텍-카이스트 해킹사건의 장본인들 중 하나로 보인다..ㅋㅋㅋ

 

서펙타클 하시고만.

 

https://blog.hksecurity.net/search?updated-max=2022-04-27T01:08:00%2B09:00&max-results=1&start=6&by-date=false

 

Prof. Huy Kang Kim's Lifelog (김휘강의 Lifelog)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김휘강 겨수님 블로그

흠...

 

나는 모자란 부분 채우는게 낫다고 (안정적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잘 하는걸 쌉조지는게 맞다고 하신다.

 

 

흠...

잘하는거 뭐가 있지.

- 컴퓨터 아키텍쳐

- 네트워크

- 소프트웨어 (어셈블리 - 로우레벨)

 

흠... 싫은거 뭐가있지

- 인공지능 (빅데이터 - 머신러닝 - 인공지능) -> 배우긴 했는데 노잼임

- 수학 (암호학, 빅데이터 성능분석 등) -> 수포자

-

 

 

27th Feb 2025

 

 

간단하게 대학원생활 WBS를 그려봤다.

 

크게 네가지로 나뉘는 듯 하다.

 

이정도면 MECE처럼 빼먹은 것 없이 모두 기재하진 못했어도

굵직하고 중요한 것 (LISS)는 거의 다 기재한듯.

 

 

 

논문을 찾아보면서 뒤적거리고 있는데

(연구할만한 주제를)

이게 ㅅㅂ 논문 읽고 뒤돌아서면 까먹는다.

 

흠...

 

 

어떻게

이틀만에 무드가 싹 바뀌어버릴 수가 있는가...

 

지금 뒷목도 좀 땡기고

눈도 뻑뻑하고 피로감이 몰리는게

스트레스를 받나보다.

 

 

앞으로 어찌해야할지 구상을 그리면 그릴수록

할건 산더미로 쌓여있고 (특히 논문 세 편)

자신은 있는데 없고

어떻게 하는지는 모르겠고

뭘 연구할지 감은 안잡히는데

수업 들을건 빡세보이는게 많고

 

혼자 조급해하면서 쓸데없는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듯 하다.

 

 

그럴 필요 없다.

원래 뭐 하나 되려면 고통스러운 수준으로 무언갈 견뎌서 해내야

한 단계 업그레이드가 되는 것이니.

그러려니 하자.

 

이제 시작인데 페이스 잘 조절해야지.

 

 

 

나중에 교수 하는거

다 하다보면 길이 보이겠지.

 

외국 가서 살 수 있을거여... 걱정 말어...

 

-> 왜 그런지 방금 알았다.

(19:30)

 

지금 내 포지션이 포지션이다보니

벌써부터 책임져야 할 것들이 눈에 보여서

스트레스를 받은 것 같다.

 

해본적 없는 업무를 책임지려하니

그럴만도..

 

 

그리고 앞으로 교수를 하고싶은 입장에서

지도교수님이 어떻게 일을 진행하는지 보면서

'와 ㅅㅂ 저걸 내가 할 수 있겠음?' 싶은 생각이 드는듯 하다.

 

 

지도교수님은 교수생활한지 오래된 분이고...

나는 아직 학위도 못딴 대졸자 놈인거고...

너무 멀리 볼 필요 없다. 그지?

 

 

주간보고때 짦게 언급하려 하였으나

그냥 조용히 넘어가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https://blog.hksecurity.net/2008/10/blog-post.html?lr=1740661056481

 

행복하게 살자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박제

대학원 학점, qualification exam과 waver에 대해

그렇게 기를 썼던 것도 나의 과거와 연관지어서이지 않을까 싶다.

 

오프라인 대학때는 학점 개판이긴 했어고

사이버대는 꽤 괜찮게 받았는데...

대학원가서 개판받으면 안되지? 그지? 근데 잘 받을 수 있을까? 사이버대는 좁밥이었는데

대학원은 좀 다르지 않을까? 싶은 걱정, 자존심, 과거에 대한 집착같은게

날 사로잡은 것은 아닌가 싶다.

 

 

내가 대학원을 오게 된 이유도 단 하나다.

 

내 삶의 행복을 좇기 위해서고

행복은 나의 성장, 흥미에 달려있으므로

대학원이 나의 행복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생각을 했기 떄문이다.

 

그 초심은 어디가고

아 시바 논문 뭐써야됨 조댔네

수업은 어캄 쫏댓네

이 생각만 하고 있었다니.

부끄럽구만.

 

 

https://blog.hksecurity.net/2021/11/1.html#comment-form

 

1. 대학원 생활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대학원 생활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는?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ㅋㅋㅋ...

행복은 행복이고

임용은 임용이고

 

그래 좋았어.

수강신청은 적당히 하고

학점도 중요하고 수강으로 배우는 것도 중요한건 맞긴한데

그건 둘째고.

 

잊지말자

 

논문 / 컨퍼런스가 우선이다.

 

교수님의 말씀...

근데 나 왜 이 분 블로그 털고 있는거임.

ㅋㅋㅋㅋㅋㅋ

 

입학하기 전부터 털긴 했다만

또 들어와보면 또 새롭고 또 와닿는구만...

 

https://blog.hksecurity.net/2008/09/blog-post_2905.html

 

동사서독 패러디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ㅁㅊ 이거 뭐여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 이런 글 쓸 수 있는 교수직 이라면 잘 될 자신 있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s://blog.hksecurity.net/2008/09/blog-post_8887.html?lr=1740662209463

 

에고그램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나는

ABACB가 나옴.

(에니어그램 1w9, MBTI INTJ, LCSI 분석형 인간임)

 

 

에이 씨발...뭐 이따위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현재 컨디션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심리테스트로 보인다.

 

근데 맘에 안듦.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에라이 씨빠빠룰라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나 왜 이 교수님 블로그 털고 있는거임...

존내 꿀잼이네

(오늘 스트레스 이빠이 받은거 교수님 블로그 털면서 같이 털고 있다. 근데 내일 주간보고때 뭐라그러지? 조땠네 이런 씨빠빠룰라..)

 

 

https://blog.hksecurity.net/search?updated-max=2023-08-22T13:57:00%2B09:00&max-results=1&start=2&by-date=false

 

Prof. Huy Kang Kim's Lifelog (김휘강의 Lifelog)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스웩을 잃지 말라고 하신다.

 

나는 무슨 스웩이 있을까.

 

개인 사생활 존나 민감해하는 스웩...?

 

 

https://blog.hksecurity.net/search?updated-max=2017-07-31T01:33:00%2B09:00&max-results=1&reverse-paginate=true&start=15&by-date=false

 

Prof. Huy Kang Kim's Lifelog (김휘강의 Lifelog)

김휘강 교수 블로그

blog.hksecurity.net

 

메슬로우 욕구이론은 아는데 법칙??

근데 저걸 붙였다구요...?

(그만 턴다고 해놓고 또 털고 있음)

 

나도 논문에 거 뭐냐 그

서덜렌드 그거 뭐시기 붙일 수 있는거임...미까?

 

범죄학 개꿀잼으로 들었는데

하나도 기억이가 나질 아니하지 말입니다...

 

 

28th Feb 2025

오늘 신입생 환영회를 열어서

랩실 퇴근시간에 퇴근 안하고 밥먹으러 갔다.

 

... 귀에서 피가 난다.

 

나이 많다고 자꾸 랩실 사람들에게

노땅어필을 하는 듯하여 언급을 최대한 자제하려 한다.

 

내가 저쪽보다 20살 많아도

먼저 들어가서 먼저 연구하고 있는거면 선배님인데

(특히 동양권에서 선후배 관계란... 꽌시)

 

 

나는 나이갖고 지랄하는 사람 절대 아니니

오해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ㅜㅜ

 

 

근데 그건 그거고

나이가 나이인건지...

아님 그런걸 원래 안좋아해서 안하다보니 더 적응을 못하는건지...

 

술처먹고 떠들썩한게 너무너무너무너무너무넘눔넘누머너ㅜㅁㄴ문머눰눠무너무너뭐무너ㅜ머누머눰누멈눠뭠넘눠뭐ㅜㄴ머머머머ㅓ무무

싫다.

 

진짜 아까 랩장님 계산때리시면

타이밍 맞춰서 나가려고 했는데

(신입생 환영회인데 신입생이 가버리면 좀 그렇잖슴)

씨빠랄라 거기 가계 왜그럼 진짜

귀에서 피는 자꾸 나는데 미치는줄 알았다.

 

 

너무너무 피곤하다.

나는 왜이렇게 극도의 I 인걸까.

 

다 때려치고 캐스트어웨이 하고싶다는 생각이 자꾸 든다.

ㅜㅜ

 

 

end of doc.

 

반응형

Comment(s)